교회사

    미국의 독립 전쟁은 장로교회의 반란?

    미국의 독립 전쟁은 장로교회의 반란?

    '미국의 독립 전쟁'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 “광복절”이 있다면, 미국에는 “독립기념일”이 있다. 사실, 미국은 본래 13개의 주로 이루어진 영국의 식민지였다. 그런데, 1776년 제2차 대륙회의에서 제퍼슨(Thomas Jefferson)을 중심으로 작성된 “독립선언문”(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이 만장일치로 채택되고, 또 1775년부터 시작된 “독립 전쟁”(American War of Independence)이 7년 후 미국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그래서, 미국은 1783년 파리 협정으로 영국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인정받고, 그 후 미국은 완전한 독립 국가로 오늘날에 이르게 됐다. 이 정도의 지식은 세계사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

    코로나 19와 마틴 루터

    코로나 19와 마틴 루터

    마틴 루터의 수도사 서원 1505년 7월 2일, 마틴 루터(1483-1546)는 집에 계신 부모님을 뵙고, 친구와 함께 에르푸르트(Erfurt)에 있는 학교로 떠나는 길이었다. 그날 날씨는 매우 열악했고, 곳곳에서 천둥이 내려쳤다. 그런데, 그날 천둥에 그만 친구가 즉사했다. 루터는 겁에 질렸고, 심지어 천둥을 피하려다 다리까지 다쳤다. 그래서 죽음의 위기를 느꼈고, 다음과 같이 서원했다. “성 안나여(St. Anne) 살려주소서! 살려주신다면 수도사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수도사였을까? 물론,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그러나, 친구가 죽고, 다리를 다친 뒤 수도사 서원을 하기까지,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는 아래와 같은 과거 사건이 관련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1)..

    코로나 19와 종교개혁자 베자(Beza)

    코로나 19와 종교개혁자 베자(Beza)

    베자는 경직된 신학자? 종교개혁자 칼빈(Calvin)은 잘 안다. 그러나, 베자(Beza)는 모른다. 만일 칼빈에게 관심이 있다면, 『칼빈의 생애와 사상』을 반드시 읽어봤으리라! 그러나, 칼빈을 옆에서 지켜보며, 그 책을 저술한 베자에게는 도무지 관심이 없다. 그는 누구일까? 한 마디로 칼빈의 동역자이면서 후계자였다. 사실 칼빈을 안다면, 베자를 알 만도 하다. 그러나 칼빈에 비해 베자는 감추어진 인물이다. 왜 베자는 감춰졌을까? 현대 학자들이 심어놓은 하나의 편견과 관련이 깊다. 본래 칼빈의 신학은 따뜻했으나, 후대 정통주의 신학이 지나치게 학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돌변했다는 편견이다. 현대 학자들은 정통주의가 이런 양상을 보인 원인으로 베자를 지목했다. 즉 '칼빈은 따뜻했으나, 베자와 그 후대는 경직됐으..

    코로나 19와 츠빙글리의 역병가

    코로나 19와 츠빙글리의 역병가

    흑사병과 중세교회의 미신(迷信) 14세기 전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은 전염병! 유럽 인구 1/3(약 2억 명)의 목숨을 앗아갔던 공포의 흑사병이다. 당시 유럽인들은 질병의 원인도 알지 못했으며, 오늘날처럼 감염자의 동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최소한의 지식도 없었다. 그래서, 의학적인 무지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흑사병을 신앙적으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물론, 질병 중에 하나님을 의지하는 것은 신자로서 당연하다. 그러나, 당시 유럽은 천주교회가 다스리던 시대로, 성경의 무지로 인해 사람들은 미신 행위에 빠지기 시작했다. 당시 성행했던 미신 행위는 아래와 같다. 1) 채찍질 고행단(Flagellants) 천주교회는 고행을 강조한다. 즉, 전염병은 하나님의 심판임으로, 사람은 고난을 받아서, 하나님의 진노를 가라..

    그레샴 메이첸: 애국과 신앙의 투사

    그레샴 메이첸: 애국과 신앙의 투사

    신앙의 투사 메이첸 20세기 초, 프린스턴 신학교와 미국장로교회(PCUSA)는 타협의 거센 광풍을 맞이하고 있었다. 소위 통일, 화합, 관용이라는 명분으로 당시 신학적으로 가장 보수적이었던 “미국 장로교회”(PCUSA)가 현대주의(자유주의)에 대한 포용을 요구하는 강력한 기류(氣流)였다. 이 기류 속에는 “에머슨 포스딕”(Harry Emerson Fosdick)의 자유주의적인 설교를 시작으로, “어번 선언”(The Auburn Affirmation), “어드만과 메이첸의 논쟁” 등 수많은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이 사건들의 핵심은 미국 장로교회(PCUSA) 총회가 1910년에 결의했던, ‘근본주의 5대 강령’으로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성경의 무오성, 2) 예수님의 동정녀..

    창조와 진화: 찰스가 찰스에게

    창조와 진화: 찰스가 찰스에게

    유명인 찰스(Darwin)와 무명인 찰스(Hodge) 먼저 소개할 인물은 “찰스 다윈”(Charles R. Darwin, 1809-1882)이다. 다윈은 『종의 기원』(1859)을 통해, 오늘날 과학계에 만개한 진화론의 탄생을 도운 장본인이다. 쉽게 말해, 그는 “진화론의 아버지”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그가 주창한 “자연선택설”, 즉 변이를 통해 좋은 “유전자”를 획득한 종은 살아남으며, 열등한 유전자를 지닌 종은 도태된다는 가설은 이제 “이론”으로 여겨질 지경에 이르렀다. 그래서, 오늘날 모든 중고생은 반드시 교과서에서 “찰스 다윈”을 만난다. 이어서 소개할 인물, “찰스 핫지”(Charles H. Hodge, 1797-1878)는 벤자민 워필드와 더불어 구(舊) 프린스턴 신학을 대변하는 탁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