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무화과나무 잎이 마르고... (하 3:17-18)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하지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에 소출이 없으며 밭에 먹을 것이 없으며 우리에 양이 없으며 외양간에 소가 없을지라도 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로다 (하 3:17-18) “무화과나무 잎이 마르고, 포도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 열매 그치고, 외양간 송아지 없어도... 난 여호와로 즐거워하리 난 여호와로 즐거워하리...” 그때 그 시절, 밝고 신나는 곡조로 불렀던 복음송이다. 교회학교 선생님과 율동하며 불렀던 기억이 남아있다. 그러나 가사를 잘 음미하면, 이 내용은 전혀 신나지 않다. 17절은 요컨대 “농업”과 “목축업”이 망했음을 뜻한다. 구약 시대, 곧 고대 사회에서 이 둘이 망했다는 건, 나라의 패망을 뜻이다. 선지자 ..

이사야의 구조 - 피터 J. 레이하르트
Peter J Leithart 강희현 역 다음은 구약성경 데이비드 도르시(David Dorsey)의 “구약성경의 문학적 구조”(Literary Structure of the Old Testament)에서 발견한 이사야의 구조 분석을 요약한 것이다. 구약 성경 대부분의 책처럼, 도르시는 이사야가 일곱 가지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A. 비난, 탄원, 향후 회복의 약속(1:1-12) B. 국가들에 관한 계시(13:1-26:21) C. 애통(27:1-35:10) D. 역사적 서술(36:1-39:8) C'. 여호와는 우상을 이기신다(40:1-48:22) B'. 종의 노래들(49:1-54:17) A'. 비난, 탄원, 향후 회복의 대한 약속(55:1-66:24) 이 다양한 구절들 사이에는 밀접한 연..

다윗의 수금이지만 그의 시편은 아니다 - 클라스 스킬더
클라스 스킬더 (Klass Schilder) 강희현 역 (너희는 망하리라)... 헛된 노래들(idle Songs)을 흥얼대며 다윗과 같이 자기를 위해 악기를 제조하며... 요셉의 환난에 대하여는 근심하지 아니하는 자로다. 아모스 6:4-6 (개역개정은 괄호의 내용이 없음) 순수한 소리가 없이 순수한 생각만으로, 형식이 없이 가사만으로, 하프가 없이 시편만으로, 비파가 없이 노래만으로 하는 자들은 가난하다. 만일 그들이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공급하시는 부유함을 거부해왔다면, 하나님의 사람은 오직 가난할 수밖에 없고, 또 그들은 그들의 빈곤에 대한 책임이 있다. 그러나, 빈곤보다 더 가난한 것이 하나가 있다. 그것은 죽음이다. 건강하고 순수한 묵상이 없이 순수한 소리만 있고, 내용이 없이 형식만 있고, 시편이..

올라가는 제사에서 재창조 - 제임스 B. 조르단
올라가는 제사에서 재 창조 (Re-creation in the Ascension Offering) James B. Jordan 강희현 역 이 에세이는 잠정적(tentative)이고 탐구적인(exploratory) 것으로, 당신의 숙고가 요구된다. 내가 보기에 레위기 1장의 “올라가는 제사”(번제물로 오역됨)는 창세기 1장의 상징적인 반복(recapitulation)으로, 희생적 제의는 타락에서 새 창조로 옮겨가는 방법으로 묘사한다. 만약 이 개념이 옳다면, 그것은 새 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업적뿐 아니라 모든 희생적 제의에 상당한 빛을 비출 것이다. 첫째 날(Day 1): 레위기 1:4. 하나님께서 형태가 없고, 비어 있으며, 어두운 세상을 만드셨다. 그리고 성령께서 세상에 오셔서 빛을 가..

새 노래 (시 98:1)
새 노래로 여호와께 찬송하라 그는 기이한 일을 행하사 그의 오른손과 거룩한 팔로 자기를 위하여 구원을 베푸셨음이로다 (시 98:1) 성경의 인물들은 가끔씩 찬송을 한다. 이 장면을 무심하게 넘기기 쉽지만, 그 ‘가사’와 부르는 ‘상황’을 살펴보면, 놀라운 공통점이 발견된다. 성경의 인물들은 아무렇게나 찬송하지 않는다. 그들은 반드시 “이것”과 관련해서만 찬송을 부른다. “이것”을 이미 경험했거나, “이것”을 장차 경험할 것이라고 확신할 때, 그들은 찬송한다. “이것”은 무엇일까? 이것은 “하나님의 구원”이다. '모세와 미리암의 찬송'을 살펴보자(출 15:1-21). 그들은 홍해에서 바로 왕을 멸하시고, 이스라엘을 건지신 하나님의 구원을 노래한다. '한나의 찬송(기도)'도 살펴보자(삼상 2장). 내용을 보..

바로의 국고성 : 출애굽기 1, 37-40장
1. “라암셋”에서의 생활 1) 라암셋에서의 초기 생활(창 47-50장) 요셉이 바로의 명령대로 그의 아버지와 그의 형들에게 거주할 곳을 주되 애굽의 좋은 땅 라암셋을 그들에게 주어 소유로 삼게 하고 또 그의 아버지와 그의 형들과 그의 아버지의 온 집에 그 식구를 따라 먹을 것을 주어 봉양하였더라(창 47:11-12) 야곱은 요셉의 생존 소식을 듣고, 온 가족과 함께 애굽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그들이 거주한 땅은 위 구절이 말하듯이, 애굽의 좋은 땅, 곧 “라암셋”이다. 사실, 우리는 창세기 후반에서 당시 야곱의 가족이 누렸던 애굽에서의 생활에 관한 여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첫째로, 그들은 애굽에서도 “목축업”을 지속했다(47:3). 둘째로, 그들은 바로 왕과 주종관계가 아니었으며, 여전히 “하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