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er J Leithart
강희현 역
다음은 구약성경 데이비드 도르시(David Dorsey)의 “구약성경의 문학적 구조”(Literary Structure of the Old Testament)에서 발견한 이사야의 구조 분석을 요약한 것이다. 구약 성경 대부분의 책처럼, 도르시는 이사야가 일곱 가지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A. 비난, 탄원, 향후 회복의 약속(1:1-12)
B. 국가들에 관한 계시(13:1-26:21)
C. 애통(27:1-35:10)
D. 역사적 서술(36:1-39:8)
C'. 여호와는 우상을 이기신다(40:1-48:22)
B'. 종의 노래들(49:1-54:17)
A'. 비난, 탄원, 향후 회복의 대한 약속(55:1-66:24)
이 다양한 구절들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A/A': 둘 다 공허한 제사, 정의 없는 제사(1:12-15; 58:1-14, 66:3)를 비난한다. 둘다, 여호와께서는 사람의 손에 피가 가득하기 때문에, 숨겠다고 위협하신다(1:15; 59:1-3). 또한, 두 부분 모두 찔레와 가시를 언급한다. “A”에서 찔레와 가시에 대한 언급은 모두 주께서 땅을 황폐하게 하시는 것, 정원의 사막화(5:6; 7:23, 24, 25; 9:8)와 관련이 있으며, 반면 A'는 주께서 가시를 잣나무(Cypress)로 대체하셔서 그 땅을 번창하게 하시겠다고 약속하신다(55:13).
둘 다 안식일(1:13; 56:2, 3, 6; 58:13; 66:23)을 언급하며, 총 여덟 번의 언급과 책의 전체적인 틀을 구성한다. 둘 다 여호와의 거룩한 산에서 늑대와 양, 사자와 소가 화해하고, 서로 해하는 것의 종말을 언급한다(11:6; 65:25).
둘 다 “정원”(1:29-31; 66:17)과 “수치심”(1:29; 66:5)을 말하며, 둘 다 끌 수 없는 불(1:31; 66:24)의 이미지를 사용한다. 둘 다 의인/악인이 분리되어 있고, A'에서 의인은 새 이름을 받는다(65:15; cf 1:26). 이것은 A에서 A'로 발전하는 것이다: 후자는 예언의 첫 부분에서 부족함에 대한 우주적인 범위를 가지고 있다.
B/B': B는 5의 두 사이클로 나뉘지는 다양한 이방 나라들을 상대로 하는 열 부분의 계시이다. 이 순서는 바빌론의 교만과 그들의 궁극적 멸망을 강조하는 바빌론에 관한 두 장으로 시작한다. 바빌론은 이 부분의 중간(21:1-17), 그리고 마지막에 다시 “교만한 도시”(24:1ff)로 돌아온다.
도르시는 또 다른 다양한 연관성에 주목한다: B는 노래의 끝과 애도의 시작(15-16)을 예언하는 반면, B'는 사람들이 주님의 나라 회복을 기뻐하고 있다(49:13, 51:3, 11, 52:10, 54:1). 둘 다 죽은 사람들에 대한 훈계(26:19, 11:9; 51:1)를 포함한다. 둘 다 “스올”과 “솥”(Pot)을 언급한다(14:15, 19; 51:14). 바벨론의 종말에서는 자연을 기뻐하고(14:7-8; 49:12-13), 바벨론의 자녀는 끊어지며(14:20-22), 반면 이스라엘 자손은 회복된다(49:19-23). 바빌론은 포로들을 내보내지 않지만(14:17), 여호와는 바벨론 포로들을 부르신다.
도르시는 또한 14장에 나오는 바빌론 왕과 여호와의 종 사이의 일련의 대조를 지적한다.
바빌론의 왕 | 고난받는 종 |
공격함(nakah, 14:6) | 공격당함(nakah, 53:4-5, 10) |
죽이고, 탄압함(nagash, 14:2, 4, 10) | 탄압을 당함(nagash, 53:7-8) |
땅을 뒤흔들고 자랑함(14:13-14, 16) | 겸손하며, 조용함(53:7) |
악하고 거만하며 두려운 자(14:5, 11, 16) | 의롭고, 멸시당함(53:2-3) |
자신을 높이고, 몰락함 | 자신을 낮추고, 높임을 받음 |
사망하며, 끝남(14:18-20) | 죽지만, 연장됨(53:10-11) |
씨를 잘라냄(14:20-22) | 잘려지지만 씨를 봄(53:8-10) |
무덤에 뭍힘(14:18-20) | 무덤이 주어짐(53:9) |
왕들이 보고 놀람(14:9-11) | 왕들이 보고, 놀람(52:14-15) |
왕이 일어나 스올에 감(14:9-20) | 왕들이 일어나 절함(49:6) |
C/C': 이 두 섹션은 잘못된 신뢰에 대해 경고한다. C는 앗수르 사람이나 바벨론 사람에 대항하여, 도움을 얻기 위해 이집트로 가는 것에 반대하는 경고를 포함한다(31:1-3). C'는 이집트에 대한 의존 그 자체가 일종의 우상숭배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 섹션들은 여러 언어 연결로 연결된다. 이사야는 이집트의 “도움”(zr)(30:5, 7; 31:1, 2, 3)에 의지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이후 절에서는 우상의 도움(Zr)을 신뢰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이집트의 도움은 “유익”(30:5-6)을 가져오지 않으며, 우상숭배(44:9-10)도 마찬가지이다. 이집트를 신뢰하는 것은 수치로 이끌며(30:3, 5), 우상과의 밀회이다. 이집트는 그저 사람이며, 신이 아니고(31:3), 그들의 우상도 또한 신이 아니다(44:6, 8-11). 이집트의 도움이라는 허영심/허황(30:7)은 우상의 공허함(41:44, 12, 24 29, 44:9)과 평행하다.
둘 다 토기장이와 점토의 이미지를 사용한다(29:16; 45:9; cf. 64:8) 35장과 40장은 일련의 언어적 평행으로 긴밀하게 엮어져 있다: 광야/사막(35:1; 40:3), 광야를 통과하는 길(35:6-7; 40:3-4), 꽃(35:1-2; 40:6-7), 레바논(35:2; 40:16), “우리의 하나님”(35:2; 40:3, 8), 여호와의 영광(35:2; 40:5), 광야의 길과 대로(35:6-8, 40:3)
D: 중심 서술 부분은 신뢰, “정치적 신뢰”와 “예배적 신뢰”에 관한 두 문단이 있다. 그들은 앗수르의 편지로 히스기야와 그의 백성이 여호와에 대한 신뢰를 버리고 정치적 위협으로부터 그들을 구해내라고 촉구받았다. 그러나, 히스기야는 여호와를 믿었고, 그 성읍은 구원을 받았다.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 타락과 세 영웅들 - 제임스 B. 조르단 (0) | 2022.07.01 |
---|---|
나무들의 이야기 - 피터 J. 레이하르트 (0) | 2022.07.01 |
야고보서의 창조 상징주의 - 피터 J. 레이하르트 (0) | 2022.06.29 |
다윗의 수금이지만 그의 시편은 아니다 - 클라스 스킬더 (0) | 2022.06.28 |
올라가는 제사에서 재창조 - 제임스 B. 조르단 (0) | 202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