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

바리새인의 누룩, 성령의 조명 (눅 12:1-12)
누가복음 12장 1-12절은 유대인의 문학 기법 중 한 가지에 해당하는 '교차대칭구조'로 기록되어 있고, 이는 오순절 성령 강림 이후 사도행전의 역사와 연결된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A. “바리새인의 누룩(교훈)을 주의하라”(1) B. “숨긴 것이 알려지리라”(2-3) C. “몸을 죽일 자들을 두려워 말라”(4) D. “지옥에 던질 권세가 있는 분을 두려워하라”(5) C’. “두려워 말라: 머리털과 참새”(6-7) B’. “사람 앞에서의 고백과 부인”(8-10) A’. “유대교 회당이나 위정자 앞에서 염려하지 마라. 성령께서 알려주시리라.”(11-12) A/A’는 '바리새인의 누룩'과 '성령의 조명'이 대조된다. 쉽게 말해, 바리새인은 '껍데기'로 온갖 허세를 부리며, '거짓 교훈'을 뽐낸다. 반면..

잃은 자를 찾는 기쁨 (눅 15)
"잃은" 양의 비유 ...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와 같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늘에서는 회개할 것 없는 의인 아흔아홉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는 것보다 더하리라 (눅 15:7) "잃은" 드라크마를 찾은 여인 비유 ...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와 같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나님의 사자들 앞에 기쁨이 되느니라 (눅 15:10) "잃은" 아들을 되찾은 아버지 비유 ... 이 네 동생은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얻었기로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 (눅 15:32) 누가복음 15장에는 세 가지 “잃은” 비유가 등장한다. "잃은 양", "잃은 드라크마", “잃은 아들”의 비유이다. 이 비유들은 마지막에 전부 같은 결론은 말한다. 그것은 "기쁨"이다. 누가복음은 종종 "잃어..

피리와 애곡 (눅 7:31-35)
31 또 이르시되 이 세대의 사람을 무엇으로 비유할까 무엇과 같은가 32 비유하건대 아이들이 장터에 앉아 서로 불러 이르되 우리가 너희를 향하여 피리를 불어도 너희가 춤추지 않고 우리가 곡하여도 너희가 울지 아니하였다 함과 같도다 33 세례 요한이 와서 떡도 먹지 아니하며 포도주도 마시지 아니하매 너희 말이 귀신이 들렸다 하더니 34 인자는 와서 먹고 마시매 너희 말이 보라 먹기를 탐하고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이요 세리와 죄인의 친구로다 하니 35 지혜는 자기의 모든 자녀로 인하여 옳다 함을 얻느니라 (눅 7:31-35) '율법교사'와 '서기관'을 보라! 그들은 세례요한이 금식하며 회개를 외칠 때, 귀신에 들렸다고 조롱했다(33). 이후 예수께서 죄인들과 잔치를 벌일 때는 먹기를 탐하는 자이며 죄인의 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