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기억할 요점들!
1. “섭리”는 모든 만물에 대한 하나님의 행하심이다.
창조 이후로 만물은 스스로 작동하지 않고, 하나님의 “협력”, “보존”, “통치”로 이 세상은 계속 작동합니다. 쉽게 말해, 하나님께서 이 세상에 대해 계속 일(Work)하신다는 겁니다. 즉, 이 세상은 한순간도, 또 어떤 사소한 일도 하나님의 뜻과 무관하게 있을 수 없습니다. 주의 말씀처럼, “공중의 새”와 “들풀”조차도 하나님께서 다 기르시고 보살피시는 겁니다(마 6:26-30).
2. “섭리”에는 “1원인”과 “2원인”이 있다.
“1원인”은 “하나님의 예지와 작정”, “2원인”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모든 세상의 법칙”을 지칭합니다. 즉,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의 원인은 1원인과 2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어떻게 경영하시는지를 알 수 있는 겁니다. 예를 들어, “최근 코로나 19의 원인이 무엇인가?”라고 물었을 때, 우리는 2원인, 곧 사람 간의 접촉, 비말의 전달, 혹은 방역의 부재 등을 말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1원인으로 말한다면, 이 전염병조차도 우리는 하나님의 작정을 통해 실현되었음을 고백해야 하는 겁니다. 즉, 2원인으로만 볼 때는 모든 것이 자연의 법칙과 사람의 의지로 인하여, 우연적으로 발생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근본 하나님의 영원하신 작정 안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난 것입니다.
“비록 제1원인인 하나님의 예지와 작정과 연관되어 모든 것이 불변하고 무오하게 실현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섭리에 의해서 하나님은 그것들을 제2원인의 본성에 따라 필연적으로, 자유로이, 또는 우연히 일어나도록 정하셨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섭리에 대하여(5.2) -
3. 섭리에는 “일반 섭리”와 “비상 섭리”가 있다.
간단히 말해, “일반 섭리”는 1원인이 2원인을 통해,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것들을 통칭하고, “비상섭리”는 그냥 “기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하늘에서 비가 내리거나, 여름에 태풍은 모두 근본 하나님의 작정이 실행된 것이지만(1원인), 이는 자연의 법칙(2원인)에 따라 일어납니다. 우리는 이를 일반 섭리라고 부르는 겁니다. 하지만, 성경에서 모세가 홍해를 가르거나, 예수님께서 “오병이어”의 기적을 일으키신 사건들은 자연법칙(2원인)을 무시하고, 하나님의 작정과 능력(1원인)에 의해서만 일어났기 때문에, 이를 “비상 섭리”라고 부르는 겁니다.
“더” 생각해볼 것들!
1. 섭리의 이단적 견해 (1): 이신론(Theism)
이신론은 세상의 모든 일에 대해, “1원인”(하나님의 작정)을 무시하고, 무조건 “2원인”(자연법칙 혹은 인간의 의지)으로만 일어난 것으로만 보는 견해입니다. 많은 학자는 하나님을 “시계공”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신론이라고 지적합니다. 무슨 말이냐면, 하나님께서 세상이라는 시계를 만드시고, 태엽을 충분히 감아놓으셨기 때문에, 이 세상은 시계처럼 자동적으로 돌아간다는 겁니다. 즉, 이신론에 따르면, 하나님은 지금 이 세상에 간섭하지 않으시고, 일하시지도 않습니다. 그저 이 세상은 하나님께서 태초에 해놓으신 설정대로 자연적으로 돌아간다는 겁니다. 이것이 이신론의 핵심입니다.
2. 섭리의 이단적 견해 (2): 범신론(Pantheism)
범신론은 서구에서 16세기 브루노(bruno)라는 철학자를 시작으로 스피노자(Spinoza)를 거쳐, 아주 큰 유행을 일으킨 섭리의 견해 중 하나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하나님이 만물에 내재하고 계시기 때문에, “만물이 곧 하나님, 하나님이 곧 만물”(만물=하나님)으로 이해하는 것이 범신론입니다(다른 말로 “만유재신론”, “만유내재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실, 범신론의 사고는 불교, 샤머니즘(미신)과 같은 각종 이방 종교의 기본적 사상입니다. 뿐만 아니라, 많은 기독교 신비주의도 범신론적 사고를 많이 반영합니다. 예를 들면, 태양이나 나무를 보면서 그 안에 신이 깃들여 있다고 생각하거나, 혹은 우리 안에 신이 깃들여 때문에, 명상이나 기도(관상 기도)로 나의 영성(spirituality)을 고양하겠다는 시도들이 범신론적 사고를 반영하는 겁니다. 이런 범신론은 통상 물질적인 것들을 하나님(신)처럼 인식하는 사고 때문에, 하나님을 비인격적으로 간주하기 쉽고, 또 자신을 신격화시켜서 인간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쉽게 망각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꼭” 생각해보기
1. 전염병으로 세상이 어지러운 이 시점에서 우리는 이에 대한 원인을 무엇으로 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힌트: 1원인과 2원인을 모두 고려할 것!)
2. 간혹 “병”을 병원에 가지고 않고, 기도나 말씀으로 고치려는 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일반 섭리와 비상 섭리에 비추어 볼 때, 이들은 무엇이 문제인지 생각해봅시다.
'아티클 > 슬 신(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형상은 무엇인가요? (2) | 2021.07.13 |
---|---|
인간은 어떻게 구성되었을까요? (0) | 2021.07.07 |
천사는 어떤 존재인가요? (0) | 2021.07.06 |
물질 세계의 창조에서 무엇이 중요할까요? (0) | 2021.07.05 |
하나님의 속성은 무엇인가요? (0) | 202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