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기억할 요점
1. 칭의는 “상태”가 아니라 “신분”의 변화이다.
우리말로 번역된 이 “칭의”는 말 그대로 “의롭다고 부르다.”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칭의는 상태의 변화가 아니라, 신분의 변화이죠. 자칫 우리의 상태 자체가 “의로운 상태”되는 것으로 오해하지만, 칭의는 전혀 이런 뜻이 아니에요. 이는 마치 “더러운 몸”에 “깨끗한 옷”을 입는 것과 같습니다. 즉, 우리 안에는 여전히 죄악이 있고, 타락한 본성이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의롭다”라고 불러주시는 겁니다.
2. 칭의는 그리스도 안에서 “법정적 판결”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으로는 칭의가 “법정적 판결”이라는 거예요. 즉, 판사이신 하나님 앞에 죄인인 우리가 섰을 때, 우리를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서 우리를 “의인”이라고 판결해주시는 거예요. 이런 이해는 성경에서 바울이 사용한 단어가 법정적 의미가 있다는 사실에 근거합니다. 실제로, 루터와 같은 종교개혁가들은 이런 의미를 깨닫고, 로마 가톨릭(천주 교회)의 잘못된 칭의론을 비판하게 되었던 거예요.
3. 칭의는 “오직 믿음”으로만 된다.
한 단어로 “이신칭의”라고 부릅니다. 종교개혁의 핵심적 모토로 불리기도 하고, “교회가 서고 지는 교리”라고 불릴 정도이죠. 실제로, 천주교회의 행위구원적 칭의론을 반박하며, 종교개혁가들이 주장한 성경적 칭의론이 “이신칭의”입니다. 즉, 칭의는 오직 믿음으로만 이루어진다는 거에요. 그리고, 이 믿음도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이기 때문에,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 곧 선물이 되는 겁니다. 사실, 이것이 개혁주의 구원론의 핵심적 전제입니다.
“꼭” 주의할 견해들!
1. 천주교회의 구원론
천주교회에서 “믿음”은 “그리스도”뿐 아니라, “성례적 믿음”, 곧 “성례의 효력에 대한 믿음”이 있습니다. 이것은 성사를 통한 의의 주입과 깊은 관련이 있죠. 또한, 죄에 대한 형벌은 선행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물론, 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간단히 말해서, 그들에게 “의”는 성사(성례)를 꾸준히 받으면서 계속 얻어야 하고, 또 형벌은 선행을 꾸준히 해서 조금씩 줄여가야 합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들의 구원론은 성사 + 선행으로 얻어가는 “행위 구원”과 다를 바가 없는 겁니다.
2. 유보적 칭의(바울의 새 관점)
한동안 바울의 새 관점을 주장하는 일부 학자들이 주장한 견해입니다(톰 라이트, 제임스 던 등등..) 간단히 말해서, 예수님을 믿음으로 칭의를 받지만, 이 칭의가 유보되어서 마지막에 하나님 앞에서 최종적인 검증을 받아야 한다는 견해입니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우리가 믿음으로 얻는 첫 칭의는 완전한 칭의로 볼 수 없게 되지요. 결국, 행위로 얻는 구원이 됩니다.
3. 순종적 믿음으로서의 칭의(페더럴 비전)
페더럴 비전(Federal Vision)은 원래 개혁교회에 속했으나, 지금은 노만 쉐퍼드(Norman Shephard)를 필두로 분리되어 나온 그룹입니다. 대표젹인 학자로 피터 J. 레이하르트, 제임스 B. 조르단 등이 있죠. 사실, 이들의 지난 성경신학적 작업은 개혁교회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조직신학적(교리신학적) 주제들에 있어서, 정통적 견해를 허무는 주장을 계속 펼치고 있습니다.
칭의와 관련된 예로, 이들은 “믿음”이 곧 “순종”이라고 주장합니다. 더 자세히 말하면, 성경적으로 믿음이란 복잡한 개념이고, 믿음 안에서 순종이 포함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는다”가 이들에게는 “순종, 곧 행위로 구원을 얻는다”와 같은 뜻이 됩니다. 즉. 행위 구원을 주장하죠. 그래서, 이들의 주장도 아주 위험합니다.
“꼭” 생각해보기
1. 우리가 “믿음으로만 의롭다함을 얻는다”(이신칭의)를 주장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선행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고 비판을 받습니다. 우리는 이런 비판에 대해 뭐라고 답해야 할까요?
2. “주의할 견해들”을 보면, 어떤 공통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공통점이 무엇일까요? 그리고, “바울의 새 관점”이나 “페더럴 비전”과 같은 견해들이 왜 새롭게 등장하는 걸까요? 이에 대해 자유롭게 나눠봅시다.
'아티클 > 슬 신(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인이란 무엇인가요? (0) | 2021.07.26 |
---|---|
성화란 무엇인가요? (0) | 2021.07.26 |
중생이란 무엇인가요? (0) | 2021.07.24 |
부르심(소명)이란 무엇인가요? (0) | 2021.07.23 |
역사적 예수는 무엇인가요? (0) | 2021.07.21 |